금동6각사리함(金銅6角舍利圅)과 사리(舍利)
국보
1977년 도리사 세존사리탑에서 발견된 사리함과 그 속에 봉안된 사리이다. 사리함은 육각을 기본으로 하며, 여닫을 수 있어 뚜껑 구실을 하는 육모지붕 모양의 옥개(屋蓋), 여섯 면에 정교한 무늬를 새긴 탑신(塔身), 면마다 안상을 투각한 좌대(座臺)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높이는 17cm, 밑면의 지름은 9.8cm이다. 지붕 모서리마다 귀꽃이 앙증맞게 솟았는데, 그 목에는 작은 고리가 하나씩 감겼고 처마에도 면마다 고리가 하나씩 있어 12개의 고리에 무언가 장식물이 달려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에는 제석천, 범천, 사천왕들을 새겼는데 그 선들이 거침없고 유려하면서도 정교하여 매우 숙달된 장인의 손길을 느낄 수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사리함이 대부분 사각을 기본으로 하는 데 반해 육각의 부도형으로, 신라 부도 및 목조건물의 양식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사리함에서 나온 사리는 무색투명하고 둥근 콩알만한 크기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사리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사리함은 직지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화엄석탑(華嚴石塔
보물
극락전 앞뜰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전체적으로 5개 층을 이루고 있는데, 맨 아래층은 탑을 받치는 기단으로, 기단 위의 2개 층은 중심부분인 탑신부로 여겨진다.
탑신부의 1층과 2층은 작은 정사각형의 돌을 2∼3단으로 쌓아 마치 벽돌을 쌓아올린 것처럼 보이는데, 각각 한 면에 문틀을 돋을새김한 널돌을 끼워 문짝모양을 표현한 듯한 점이 주목된다.
위쪽의 2개 층은 머리장식받침인 노반(露盤)이 포개진 것인지, 윗층만 노반이고 아래층은 탑신부인지 분명히 알 수 없으며, 맨 위의 노반 위에는 연꽃이 조각된 보주를 얹어놓았다.
우리나라 석탑 가운데 동일한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이 화엄석탑은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극락전(極樂殿)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서방극락정토(西方極樂淨土)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정면과 측면이 각 3칸인 팔작지붕 건물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1875년(고종 12) 용해(龍海)스님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외부 앙서와 상부 익공 및 내부 운궁의 형상이 1870년 중건된 경복궁 근정전의 공포 구성양식과 유사한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조선말기의 건축특징을 갖추고 있다.
내부에는 1645년(인조 23)에 조성한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1876년(고종 13)에 조성한 아미타후불탱을 봉안하고 있으며, 근래에 지장탱과 신중탱을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건물 안 단청에 연지회상(蓮池會上)이라는 글씨와 구품연대 그림이 남아 있는데 이는 연못에서 아미타불이 극락세계에 모여 있는 모든 보살 신중에게 설법하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극락전에 모셔진 높이 129cm, 무릎너비 93cm의 불상으로 몸에 비해 머리가 크며, 평면적이고 네모진 얼굴을 하고 있다.
머리에는 낮은 나발(螺髮)에 작은 육계(肉髻)를 갖추었고, 미간 중앙에는 작은 백호(白毫)가 있으며, 이목구비가 정연하다. 양팔에 걸친 통견의(通肩衣)가 양 무릎을 덮고 있으며, 가슴 아래 군의(裙衣)는 띠 매듭 대신 앙련(仰蓮) 모양으로 옷자락을 새긴 것이 특징이다.
불상의 형태와 조각수법 등으로 보아 17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후기 목조불상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현재 경상북도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아도화상사적비(阿道和尙事蹟碑)ㆍ불량답시주질비(佛糧畓施主秩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도리사 남쪽 비탈진 송림에 나란히 남향하여 서 있는 두 비석으로,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일괄 지정되어 있다.
아도화상사적비는 1655년(효종 6)에 세운 것으로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한 사적을 적은 것이며, 뒷면에는 자운비가 음각되어 있다.
비석의 모습은 자연석을 받침 삼아 그 윗면에 홈을 파서 비를 세우고, 머릿돌을 얹었다. 머릿돌은 앞면에 이무기를, 뒷면에 네 마리의 용을 조각하고 그 사이마다 다시 운룡을 조각한 독특한 모양이다.
불량답시주질비는 도리사에 논밭을 시주한 이의 이름과 논밭규모를 적어놓은 비석이며 1712(숙종38)에 세워졌다.
모습은 아도화상사적비와 같으나 머릿돌 앞뒷면에 굵은 선으로 연꽃봉오리와 줄기를 조각하고, 양 옆면에는 이중으로 된 원모양의 띠를 새겨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