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회·제사

천년의 향기 휘날리는 적멸보궁 도리사

재 및 제사

 

‘재(齋)’와 ‘제사(祭祀)’란 무엇인가   재(齋)의 의미는 원래 스님들에게 공양(식사)을 대접하여 선근공덕(善根功德)을 쌓는데 목적이었던 ‘재’가 ‘법회’ 등의 형식으로 바뀌어 각종 기복적인 여러 가지 의식으로 변화 되었다.  국가적으로 행했던 각종 ‘재’가 조선시대에는 불교탄압과 함께 자취를 감추고 민간에 의한 각종 ‘재’가 성행하게 되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수륙재(水陸齋)·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영산재(靈山齋) 등이다.  ‘수륙재’는 유주무주(有主無主)의 여러 고혼(孤魂)을 천도하므로 해서 자신의 복락을 받는다는 ‘재’이며, 생전예수재는 살아생전에 미리 불보살님께 공덕을 쌓아 사후에 극락세계에 왕생한다는 ‘재’이다.  그리고 ‘영산재’는 49재의 한 형태로써 사람이 죽으면 7일마다 명부시왕의 심판을 받는다 하여 7일마다 ‘재’불공을 올리고, 마지막 49일이 되는 날에는 여러 영혼들을 초청하여 ‘재’공양을 성대히 올린 공덕으로 극락세계에 왕생한다고 하여 베푸는 ‘재’이다.  ‘재’라 하면 이상의 3가지 외에 특별히 지내는 천도재가 있고, 돌아가신 날에 모시는 ‘기제사(忌祭祀)’가 있다.
그리고 설과 추석명절에 모시는 ‘차례(다례茶禮)’가있다.  모든 재의식이 끝난 뒤 대중공양(大衆供養)을 하는데 그 이유는 대중들이 함께 공양한 공덕으로 망자들이 극락세계에 왕생한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영구위패

- 영구위패는 선망조상, 부모, 형제, 자식, 인연영가의 영혼을 기리어 위패를 봉안하는 것을 말합니다. 부모은중경에 이르기를 부모는 살아계실 때 자식의 몸을 대신하고 죽어서는 자식 몸을 지킨다 하셨습니다. 선망부모, 형제 자매의 인연은 세세생생 무량겁의 전생, 윤회전생의 인연으로 맺어진 것입니다.

- 도리사에 영구위패를 봉안하면, 매일 지장보살님께 정성 들여 돌아가신 분의 극락왕생을 기도 발원합니다. 그 공덕으로 자손들의 명과 복이 늘고, 후손이나 가족에게 나쁜일이 생기지 않게 되고, 영구위패는 도리사의 역사와 함께 할 것이며 따로 관리하지 않아도 명절(설, 추석)에는 갖가지 공양물을 진설하고 정성을 다해 합동재를 올려 드립니다.

설 합동차례

  설날을 맞아 조상에 대한 감사와 공덕을 기리고자 합동차례를 올립니다. 보은전에서 조상과 부처님 앞에서 합동차례를 올리며 새해를 맞아 덕담을 나누고, 가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 설날(음력 1.1) – 오전 9시 설 합동차례

생전시왕예수제

  생전예수재란 산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 살아있는 동안 미리 지은 죄와 빚을 갚는 의식을 행하여 죽은 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것입니다.
명부시왕과 그 권속들에게 공양을 올리고, 저승의 빚을 갚으며, 함합소를 태워 저승에 보내는 등 생전에 공덕을 쌓아 사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것으로  업을 죽기전에 갚아 청정한 몸과 마음으로 죽음을 대비하는 넓은 의미의 수행의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전예수재는 윤달이 든 해에 봉행하며, 불교 수행의 근본 성격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죽음을 맞이하기 이전에 참회의 공덕으로 업장을 소멸하고 지계와 보시로써 스스로 현생과 내생의 복락을 추구하는 의식입니다.
· 입재 (음력 윤달 초하루) / 초재(음력 윤달 11일) / 막재(음력 윤달 22일)

추석 합동차례

  풍성한 한가위를 맞이하여 도리사에서는 부처님전에 예불을 올리고 선망삼세 조상님께 감사의 차례를 올립니다. 차례를 올리는 사람에게는 평안과 지혜의 공덕이 구족하고 영가에게는 극락왕생과 천도의 계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 추석(음력 8.15) – 오전 9시추석 합동차례